본문 바로가기
조선왕릉답사

조선왕릉답사 - 서울 서초구 헌인릉 - 2 - 3대 태종 헌릉

by Grid-A 2017. 1. 10.

헌릉(조선왕릉 40기)은 유네스코지정 세계문화유산으로 2009년 지정

헌릉은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194호로 지정

 

여러 조선왕릉을 답사하며 홍살문에서 정자각과 왕릉이 일직선상에 놓이며, 정자각의 개구부를 통해 능이 보이는 경우가 많지 않았었는데, 헌릉에서는 축선상의 배치와 정자각의 개구부를 통해 보이는 왕릉과 왕후릉의 모습이, 각각의 의미에 합당한 구성을 가지고 있어 답사에 더욱 의미가 있었다.

 

능의 구성

  • 헌릉은 3대 태종과 원비 원경왕후의 봉릉이 같은 언덕에 조영된 쌍릉 형식으로, 조선시대 쌍릉의 대표적인 능제이다. 병풍석의 규모와 확트인 전경, 정자각 중심의 제향공간과 능침공간 사이의 높이 차이 등 초기 조선 왕릉의 위엄성을 잘 드러내주는 요소를 갖추고 있다. 헌릉의 능 앞 석물들은 망주석, 혼유석, 장명등은 1쌍이고 양석, 호석은 각각 4쌍, 문무인석과 마석은 각각 2쌍씩 배치되었는데, 이는 고려 왕조의 현릉(玄陵)과 정릉(正陵) 제도를 기본으로 한 것이며 조선시대에서는 가장 웅장한 배치 방법이다.
  • 헌릉이 지닌 조선 초기 왕릉으로서의 특성을 두 가지 꼽자면 소전대와 상석 아래 놓인 고석의 개수를 들 수 있다. 정자각 북서측에 있는 소전대라고 하는 석물은 제례의 마지막 절차인 지방을 불사르는 시설로 태조 건원릉과 이곳 헌릉에서만 볼 수 있는 조선시대 초기의 석물이다. 한편 봉릉 앞 상석 아래에 놓인 고석의 개수가 5개인데, 이와 같이 고석이 5개인 능은 태조의 건원릉, 태종의 헌릉으로 모두 조선 초기 상설제도에서 볼 수 있는 형식이다. 헌릉에는 불교 요소를 제거한다는 명분으로 법석은 물론, 원찰의 설립을 금하였다.
  •  

    능의 역사

  • 원경왕후가 1420년(세종 2) 7월 10일 수강궁(창경궁) 별전에서 태종보다 일찍 세상을 뜨자, 태종의 명으로 같은 해 9월 17일 대모산 기슭에 건좌손향으로 왕후의 능을 조영했는데, 억불정책으로 원찰을 세우지 못했다. 그로부터 2년 후인 1422년(세종 4) 태종이 승하하자 아들 세종은 같은 해 9월 6일 어머니 원경왕후의 능 옆에 봉릉을 따로 만들어 아버지를 모시고 난간으로 연결하여 쌍릉을 조성하고 곡장을 둘렀다.
  • 능원에는 두 개의 신도비가 있는데, 임진왜란 때 손상된 원래 신도비와, 1695년(숙종 21) 하나 더 증설하여 세운 것이다. 왕릉의 신도비는 태조의 건원릉, 정종의 후릉, 태종의 헌릉, 세종의 영릉 때까지 세웠다가 그 이후에는 완전히 폐지했는데, 현재 왕릉의 신도비는 건원릉과 헌릉에만 볼 수 있으며 세종의 영릉 신도비는 서초구 내곡동 원래의 터에 묻혀 있던 것을 1973년에 발굴하여 현재의 청량리 홍릉동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입구에 있다.






























  • <아래 헌인릉 조감사진 출처 - 문화재청 발간 [인릉 정자각 및 비각] 수리보고서>

    상기 자료는 문화재청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상에 공개된 자료입니다.

     

    쌍릉으로 조영된 우측이 헌릉이고, 좌측이 인릉입니다.




    공감 눌러주시고, 댓글 남겨주시면

    좋은 글 포스팅하는데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