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왕릉답사

조선왕릉답사 - 서울 서초구 헌인릉 - 1 - 23대 순조 인릉

by Grid-A 2016. 7. 14.

인릉(조선왕릉 40기)은 유네스코지정 세계문화유산으로 2009년 지정

인릉은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194호로 지정

 

답사 당시 정자각(丁字閣)과 비각이 중수되고 있어서 자세히 살펴보기 어려워 아쉬웠다. 능의 측면으로 계단을 올라 멀리서나마 살펴볼 수 있었다.

 

능의 구성

  • 인릉은 조선 23대 순조와 비 순원왕후의 합장릉이다. 겉으로 보아서는 혼유석을 하나만 설치하여 단릉과 같은 형식이다. 인릉의 능역에는 곡장 3면, 난간석 12칸, 석양 2쌍, 석호 2쌍, 혼유석 1개, 망주석 1쌍, 장명등 1개, 문석인과 석마 각 1쌍, 무석인과 석마 각 1쌍이 배치되어 있으며, 정자각과 비각, 홍살문과 재실 등이 있다.
  • 봉분에는 병풍석이 없고 난간석 12칸만을 둘렀으며, 기타 상설은 『국조상례보편』의 제도를 따르고 있다. 장명등은 조선 초기의 팔각등 양식을 따른 것으로 보인다. 문무석인은 생동감 있는 표정과 힘차고 활달한 조각 기법, 이목구비의 표현 등이 매우 사실적이어 조선 후기의 석물조각의 특색을 잘 보여주고 있다.
  • 인릉의 비각에는 두 개의 비석이 있는데, 이 중 하나는 최초의 조영 당시의 것이고, 하나는 고종 때 순조숙황제로 추존되면서 세운 것이다.
  •  

    능의 역사

  • 순조는 1834년 11월 13일 경희궁 회상전에서 승하하여 1835년 4월 19일 파주 교하 구후(舊後) 장릉(長陵) 국내에 안장하였고, 능호를 인릉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풍수지리상의 불길론이 대두되어 천장을 결정하게 되었다.
  • 『철종실록』1855년(철종 6) 1월 18일의 기사에는 "인릉의 능침을 봉안한지 21년이나 되었다. 들리는 바에 의하면 외의(外議)가 서로 논쟁하고 있다고 하니, 나의 마음이 송구스럽다. 어떻게 하면 좋겠는가? 어머님께서도 이런 내용으로 하교하셨지만, 일이 지극히 중차대한 데에 관계되므로, 경 등과 상의하여 결정해서 행하려 한다.”로 시작하는 내용의 인릉의 천장에 대한 논의가 기록되어 있다.
  • 논의가 있은 다음해인 1856년(철종 7) 10월 11일에 인릉은 현재의 위치인 서초구 내곡동 헌릉 서쪽 언덕으로 천장되었다. 1857년(철종 8) 8월 4일에는 창덕궁 양심각에서 순원왕후 김씨가 승하하여 같은 해 12월 17일에 인릉에 합장하였다.














    <아래 인릉 조감사진 출처 - 문화재청 발간 [인릉 정자각 및 비각] 수리보고서>

    상기 자료는 문화재청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상에 공개된 자료입니다.

     

    답사 당시 진행되던 수리가 모두 마무리되고, 수리보고서가 발간되었습니다.







    공감 눌러주시고, 댓글 남겨주시면

    좋은 글 포스팅하는데 힘이 됩니다!